매년 11월 넷째 주 금요일, 미국 블랙프라이데이는 전 세계가 들썩이는 최대 쇼핑 할인 행사입니다. 특히 한국에서는 블랙프라이데이 해외직구로 유명 브랜드 제품을 저렴하게 살 수 있어서 관세, 배대지, 추천 품목에 대한 검색량이 폭발적으로 늘어나죠.
이 글에서는 처음 직구를 도전하는 분들도 실수 없이 따라 할 수 있도록 ① 블랙프라이데이 개념 ② 직구 흐름 ③ 관세·부가세 기준 ④ 배송대행지(배대지) 선택법 ⑤ 추천 품목과 행동 팁까지 한 번에 정리해 드릴게요.
아래 순서대로만 따라오시면 관세 실수 없이, 할인은 제대로 챙기는 직구가 가능합니다.
1. 블랙프라이데이란? 언제, 왜 이렇게 난리일까
블랙프라이데이(Black Friday)는 매년 11월 넷째 주 금요일, 미국 추수감사절(목요일) 다음 날 열리는 연말 최대 쇼핑 이벤트입니다. 원래는 미국 오프라인 매장에서 시작된 세일이었지만, 지금은 온라인으로 확대되면서 전 세계 소비자들이 함께 즐기는 글로벌 쇼핑 축제가 되었어요.
이 시기에는 아마존, 월마트, 베스트바이뿐 아니라 애플, 나이키, 다이슨, 보스(Bose), 삼성 등 글로벌 브랜드들이 1년 중 가장 큰 할인율을 쏟아내기 때문에 해외직구를 준비하는 분들에겐 놓치기 아까운 타이밍입니다.
- 매년 11월 넷째 주 금요일에 진행
- 전자기기·가전·패션·뷰티 등 대부분 카테고리 대규모 세일
- 한국에 정식 출시되지 않은 제품이나 컬러를 살 수 있는 기회
2. 블랙프라이데이 해외직구, 전체 흐름 한 번에 보기
해외직구가 어렵게 느껴지는 이유는 처음에 전체 그림을 모르고 시작하기 때문이에요. 실제 직구는 아래 순서대로만 따라가면 생각보다 단순합니다.
- 어디서 살지 정하기 – 아마존, iHerb, 브랜드 공식몰 등
- 직배송 여부 확인 – 한국까지 보낼 수 있는지 체크
- 배송대행지(배대지) 필요 여부 결정
- 회원가입 & 주소 등록 – 한국 주소 또는 배대지 창고 주소
- 장바구니 담기 & 쿠폰 적용 – 미리 담아두고 세일 시작과 함께 결제
- 결제 – 해외 결제 가능한 카드, 페이팔, 애플페이 등 사용
- 배대지 이용 시 배송신청서 작성
- 국내 도착 후 통관·관세/부가세 납부 여부 확인
- 회원가입 + 주소(한국 or 배대지) 미리 등록하기
- 살까 말까 고민되는 제품은 장바구니에 미리 담아두기
- 카드사 블랙프라이데이 추가 캐시백·할인 이벤트 있는지 확인
3. 해외직구 관세·부가세, 이 부분만 이해하면 끝
블랙프라이데이 해외직구에서 가장 많이 헷갈리는 부분이 바로 관세와 부가세입니다. 간단히 말해, 해외에서 산 물건을 한국으로 들여올 때 일정 금액을 넘으면 세금을 내야 한다는 의미예요.

3-1. 면세 한도 기준 정리
해외직구 시 관세·부가세가 면제되는 기준은 보통 아래처럼 기억하면 편합니다. (상품가 + 해외배송비 합산 금액 기준, 개인 사용 목적일 때)
| 구분 | 면세 한도 (상품가 + 해외배송비) | 비고 |
|---|---|---|
| 미국 이외 국가 직구 | 150달러 이하 | 면세 한도 초과 시 관세 + 부가세 부과 |
| 미국 직구 (한·미 FTA 대상) | 200달러 이하 | 미국 셀러·미국 발송, 개인 사용 조건 충족 시 |
- “상품 가격 + 해외배송비”를 모두 더한 금액 기준으로 계산
- 주류·담배·향수·일부 건강기능식품 등은 예외가 많으므로 별도 확인
- 개인 사용 목적이 아닐 경우(재판매 목적 등) 통관이 복잡해질 수 있음
3-2. 합산과세, 이거 몰라서 관세 폭탄 맞는다
같은 날, 같은 수취인 이름으로, 같은 해외 판매자(또는 같은 발송국)에서 온 물건은 금액을 합산해서 면세 기준을 적용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.
- 예: 같은 날 미국 아마존에서 120달러 + 110달러 두 번 주문
- 각각은 200달러 이하지만, 합쳐서 230달러 → 200달러 초과
- 결과적으로 관세 + 부가세 부과 가능성 ↑
- 고가 제품은 날짜를 나누어 주문하기
- 가능하면 판매자(셀러)를 분리해서 주문하기
- 여러 건 주문 시, 주문일·발송일을 캘린더에 메모해두기
3-3. 세금은 어느 정도 예상하면 좋을까?
품목마다 세율이 다르지만, 일반적인 상품 기준으로는 대략 상품가의 15~25% 정도를 세금(관세 + 부가세)으로 예상해 두면 크게 벗어나지 않는 편이에요.
그래서 블랙프라이데이 할인율만 볼 것이 아니라, 할인가 + 해외배송비 + 예상 세금까지 모두 계산해서 실제로 국내 가격보다 이득인지 확인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.
4. 배송대행지(배대지) 선택, 여기서 직구 성공이 갈린다
배대지(배송대행지)는 해외 현지에 있는 내 가상의 창고 주소입니다. 미국·유럽 쇼핑몰에서 물건을 이 창고 주소로 보낸 뒤, 배대지가 그 물건을 다시 한국으로 보내주는 구조예요.
4-1. 언제 배대지가 필요한가?
- 쇼핑몰이 한국 직배송을 지원하지 않을 때
- 직배송은 되지만, 배송비가 너무 비쌀 때
- 여러 군데에서 산 물건을 합배송해서 배송비를 줄이고 싶을 때
4-2. 좋은 배대지 고르는 기준
| 체크 항목 | 내용 |
|---|---|
| 창고 위치 (미국 주) | 델라웨어(DE), 오리건(OR) 등 판매세(Sales Tax) 유리한 주 선호 |
| 배송비 체계 | 무게·부피당 요금 확인, 전자제품/의류/화장품에 유리한지 비교 |
| 검수 서비스 | 오배송·파손 확인용 기본 사진 검수 제공 여부 |
| 합배송 옵션 | 여러 상자를 한 박스로 묶어 배송비 절감 가능한지 |
| 고객센터 응대 | 블랙프라이데이 시즌 문의 폭주 시 대응 속도 중요한 요소 |
- 배대지 회원가입 후, 나만의 해외 창고 주소 확인
- 해외 쇼핑몰 주문 시 배송지 주소에 이 창고 주소 입력
- 상품 발송 후, 배대지 사이트에서 배송신청서 작성
- 배대지에서 무게·부피 측정 후 국제배송비 결제
- 한국 도착 → 통관 → 수령
5. 블랙프라이데이 해외직구 추천 품목 BEST
블랙프라이데이 기간에는 사실 웬만한 카테고리는 다 할인을 하지만, 특히 해외직구 메리트가 큰 품목들이 있습니다. 블로그에 “블랙프라이데이 직구 추천 품목” 섹션을 넣어두면 검색에도 유리해요.
5-1. 전자기기·디지털 제품
- 노이즈캔슬링 헤드폰 (소니, 보스 등)
- 태블릿, e북 리더(킨들), 게이밍 콘솔(PS, Xbox, 닌텐도 번들)
- 스마트워치, 피트니스 밴드
국내 정가 대비 할인 폭이 커서 매년 직구 인기 품목 상위에 오르는 카테고리입니다.
5-2. 프리미엄 생활가전
- 로봇청소기, 공기청정기, 커피머신
- 에어프라이어, 푸드 프로세서, 청소기
- 다이슨 헤어드라이어·스타일러 등
전압(110V/220V)과 플러그 형태를 꼭 확인해야 하고, 필요하다면 변압기·변환 어댑터를 함께 구매하는 게 좋습니다.
5-3. 패션·스니커즈
- 나이키·아디다스·뉴발란스 한정판 스니커즈
- 미국 브랜드 후디, 패딩, 스포츠웨어
- 아울렛·클리어런스 코너를 곁들인 추가 세일 제품
5-4. 뷰티·건강 카테고리
- 해외 스킨케어 브랜드 기프트 세트
- 향수 홀리데이 에디션
- 영양제·프로틴·비타민 (단, 통관 제한 기준 필수 확인!)
건강기능식품·비타민·영양제는 1회 통관 허용 수량이 정해져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. 구매 전 반드시 관세청·관계 기관 안내를 확인해 주세요.
6. 당장 오늘 할 수 있는 블랙프라이데이 준비 체크리스트
정보를 아는 것에서 끝내지 말고, 지금 바로 움직이면 블랙프라이데이 할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어요. 아래 체크리스트를 하나씩 실행해 보세요.
- ① 이번 블랙프라이데이 직구 예산을 노트에 적어둔다. (예: 30만 원)
- ② 자주 이용할 쇼핑몰(아마존, iHerb, 나이키 등)에 미리 회원가입한다.
- ③ 배송 방식(직배송 vs 배대지)을 결정하고, 필요하면 배대지 한 곳 이상 가입해 둔다.
- ④ 사고 싶은 제품들을 ‘찜 리스트’와 ‘절대 놓치면 안 되는 리스트’로 나눈다.
- ⑤ 예상 결제금액을 기준으로 관세·부가세를 간단히 계산해 본다.
7. 마무리 정리|블랙프라이데이 해외직구, 이렇게만 하면 어렵지 않아요
블랙프라이데이 해외직구는 처음만 낯설지, 한 번 흐름을 익히면 매년 기다려지는 즐거운 쇼핑 이벤트가 됩니다. 특히 관세 기준(150달러·200달러)과 배대지 활용법만 잘 이해하고 있으면, 국내보다 훨씬 합리적인 가격에 원하는 제품을 살 수 있어요.
올해 블랙프라이데이를 준비하신다면, “① 예산 정하기 → ② 사이트·배대지 가입 → ③ 장바구니 미리 담기 → ④ 관세 기준 체크” 이 네 가지만 먼저 실행해 보세요. 그러면 이미 절반은 성공입니다.
올해는 관세 실수 없이, 정말 필요한 것만 똑똑하게 득템해 보세요!




